목록 태그
ol과 ul은 하나 이상의 li를 자식으로 가져야 한다.
ol (ordered list)
순서가 중요한 목록
ul (unordered list)
순서가 중요하지 않은 목록
순서가 바뀌어도 상관없는 항목들을 다룰 때 사용
li (list item)
하이퍼링크를 연결하고 싶을 경우 li 태그 안에 넣어야 한다.
dl (description list) 정의 목록 태그
직계자식요소로 <dt> <dd> <div>만 올 수 있다.
<dt> 용어 태그 (description term)
정의하고자 하는 용어 혹은 key값을 나타낸다고 한다.
<dd> 로 <dt>에 대한 설명을 해준다.
<dd> (description details)
하나의 <dt>에 여러 개의 <dd>도 가능하고, 여러 개의 <dt>에 하나의 <dd>로 설명할 수 있다.
<dfn> 정의 태그 (definition)
<dl>의 바로 밑에 올 수 없다.
주로 문장 안에서 이 문장은 무엇을 정의하는지 알려주기 위해서 사용하는 듯하다.
도움 받은 링크
https://juheeexx.tistory.com/13
[HTML] 목록 태그 똑똑하게 사용하기 ( <ul>, <ol>, <li>, <dl>, <dt>, <dd>, <dfn> )
목록 태그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게 태그이지 않을까? 혹은 요소는 반드시 이나 요소 안에 작성해야 한다는 것까진 알고 있지만, 과 의 차이를 정확히 모르고 있을 수도 있겠다. 이번 포스팅에
juheeexx.tistory.com
인텔리제이 탭 간격 조정하기
preferences (Ctrl + Alt + S) -> -Tab and Indents -> Code Style (코드 스타일) -> 사용하는 언어의 tab size 조정, 기본은 4칸
도움받은 링크
https://bbubbush.tistory.com/30
[Intelli J] Tab 간격 변경하는 방법(feat. 코딩 스타일 추천)
들어가며 웹 개발을 하다 보면 코드 블록의 깊이가 깊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. 특히 퍼블리싱된 HTML 파일은 탭 간격만으로 모니터의 절반을 차지하기도 한다. 이런 경우 탭 간격을 기본값으로
bbubbush.tistory.com
Cannot resolve MVC 에러
작동하는 데 문제는 없지만 에러 표시가 뜨는 게 신경 쓰여서 찾아보았다.
여러 해결 방법이 있었지만 나는 설정에서 패킷 경로를 추가해 주는 방식으로 해결했다.
settings (Ctrl + Alt + Shift + S) -> Facets (프로젝트 설정 > 패싯) -> Web > Web Resources Directories 설정
도움받은 링크
https://stackoverflow.com/questions/60002080/spring-cannot-resolve-mvc-view-thymeleaf
Spring - Cannot resolve MVC "view" thymeleaf
I got a simple HomeController.class: package com.example.tacos; import org.springframework.stereotype.Controller; import org.springframework.web.bind.annotation.GetMapping; @Controller public class
stackoverflow.com
Deprecated unwrapped fragment expression 에러
타임리프 쪽 에러였다.
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구문이 오래되었다고, 에러 메시지에 있는 방법으로 바꿔주면 해결된다.
도움받은 링크
layoutMain.html, Deprecated 이슈, 워닝 해결 공유 - 인프런 | 질문 & 답변
WARN 2620 --- [nio-8080-exec-2] actStandardFragmentInsertionTagProcessor : [THYMELEAF][http-nio-8080-exec-2][template/layout/layoutMain] Deprecated unwr...
www.inflearn.com
외부 링크 출처
출처 관련해서 외부링크임을 표시해 주고 싶어서 좀 찾아보았다.
<blockquote> 태그
인용하려는 글의 양이 많을 때 사용한다. 짧다면 <q>를 사용한다고 한다.
<a> 태그의 rel 속성 external, noopener, noreferrer,
external이 외부 문서임을 표시해준다고 한다. 따로 기능은 없다.
noopener, noreferrer 외부 문서에서 내 페이지에 대한 접근, 정보를 알 수 없게 한다.
코드 예시
<a href="외부 문서 링크" target="_blank" rel="noopener noreferrer external">
도움받은 링크
http://www.tcpschool.com/html-tag-attrs/a-rel
코딩교육 티씨피스쿨
4차산업혁명, 코딩교육, 소프트웨어교육, 코딩기초, SW코딩, 기초코딩부터 자바 파이썬 등
tcpschool.com
https://velog.io/@mangozoo20/HTML-a-%ED%83%9C%EA%B7%B8%EC%9D%98-targetblank-%EC%86%8D%EC%84%B1-%EB%B3%B4%EC%95%88-%EC%B7%A8%EC%95%BD%EC%A0%90
https://juheeexx.tistory.com/10
[HTML] 강조, 인용, 출처 태그 ( <em>, <strong>, <blockquote>, <q>, <cite> )
강조 태그 : , 제목 혹은 문단 내에 특별히 강조하고 싶은 내용을 표시할 때 강조(Emphasis) 태그를 사용한다. 강조 태그는 과 두 가지 태그가 있다. 두 태그 모두 브라우저에 강조하고자 하는 내용
juheeexx.tistory.com
'코딩일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코딩일지] 231012 (0) | 2023.10.15 |
---|---|
옛말 정리 자료 - WEB 폴더와 WEB-INF 폴더의 차이 (0) | 2023.10.14 |
[코딩일지] 231011 (0) | 2023.10.14 |
[코딩일지] 231006 (0) | 2023.10.06 |
[코딩일지] 231005 (0) | 2023.10.06 |